코인을 매매 할 때는 굉장히 신경 쓸 부분이 많다. 항상 편안하고 신경 덜 쓰는 매매를 추구하는데 이런 니즈들이 많다는걸 반증 하듯 요즘 대부분의 거래소에서 자동 매매봇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자동매매봇이 있는데 나는 그리드봇을 자주 이용하고 있다. 그리드봇을 처음 보는 분들을 위해 대략적인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려 한다.
그리드봇
1. 그리드봇이란?
일정 가격 범위를 여러 구간(그리드)으로 나누고, 자동으로 매수/매도 주문을 반복 실행하는 자동매매 봇을 말한다.
예시: 1~2달러 범위에서 10개의 구간 설정 →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전략을 자동 반복.
2. 왜 그리드봇으로 거래할까?
코인 시장은 하루에도 수십 번씩 오르락내리락하는 극심한 변동성이 특징이다. 이처럼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고, 횡보하거나 파동을 반복하는 시장에서는 '그리드봇'이 뛰어난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리드봇은 일일이 매수/매도를 할 필요 없이, 미리 정한 가격 구간 안에서 자동으로 싸게 사고 비싸게 파는 전략을 반복하기 때문에 잦은 가격 변동을 수익 기회로 전환할 수 있다.
3. 그리드봇의 장점
- 감정 없는 자동매매 공포, 욕심 없이 설정된 전략만으로 매수·매도
- 횡보장에 유리한 구조 가격이 오르내릴수록 체결이 반복되며 수익 발생
- 수익 실현의 자동화 매도까지 자동이라 익절 타이밍을 놓치지 않음
- 24시간 작동 사람이 자고 있을 때도 매매가 계속됨
- 복잡한 기술적 분석 없이도 운영 가능 일정 구간, 자금만 정하면 누구나 쉽게 시작 가능
4. 그리드봇의 단점
- 강한 추세장에 취약 한 방향으로 급등 또는 급락하면 손실 커질 수 있음 (예: 매수만 쌓이고 매도 없이 가격 급락)
- 자금 분산 실패 시 리스크 큼 초기 설정이 비효율적이면 자금이 고갈되거나 매수만 쌓임
- 수수료 누적 부담 거래가 많을수록 거래소 수수료도 그만큼 누적됨
- 계좌가 묶일 수 있음 하락장에서는 미체결 자산이 매도되지 않고 쌓여 유동성 부족 발생
그리드봇 설정 방법
그리드봇 설정방법은 크게 어려울 건 없다. 아래 이미지는 MEXC거래소의 그리드봇 설정 화면으로 대부분의 거래소가 비슷한 인터페이스와 설정 항목을 가지고 있다. 한글을 지원하기 때문에 mexc를 주로 이용한다.
1. 중립 (롱 / 숏)
- 롱: 가격이 내려갈수록 매수, 올라가면 매도하여 차익 실현
- 숏: 가격이 올라갈수록 공매도, 내려가면 청산하여 수익 확보
- 방향성을 잘못 설정하면 손실 위험이 커질 수 있는데 나는 비트의 꾸준한 우상향을 믿고 대부분 비트 롱으로 봇을 운용한다.
2. 사용 자금
- 봇이 사용할 실제 자금 (예: 192.7 USDT)
- 레버리지를 곱한 실제 포지션 규모는 이보다 큼 (예: 10배 레버리지일 경우 약 1,927 USDT)
- 레버리지도 별도로 설정 가능하다.
3. 가격 범위
- 봇이 작동할 최소~최대 가격 범위
- 가격이 이 범위를 벗어나면 매매 중지
- 너무 좁게 설정하면 체결 기회 적고, 너무 넓으면 비효율적
- 나는 가격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경하고 꽤 타이트하게 잡는 편이다.
4. 그리드 수
- 전체 가격 범위를 몇 개의 구간(그리드)으로 나눌지 설정
- 그리드 수가 많을수록 촘촘하게 매매하지만 수익폭 작아짐
- 예: 50 그리드 = 50개의 매수/매도 구간이 생김
- 나는 빠르게 체결 되는 걸 선호해서 꽤 촘촘하게 하는 편이다.
5. 레버리지
- 실제 자금 대비 몇 배의 포지션을 잡을지 결정
- 수익률을 높일 수 있으나 청산 위험도 커짐
- 청산가가 너무 가까운 경우 주의 필요
6. 예상 강제 청산 가격
- 현재 설정으로 운용할 경우 강제 청산이 발생하는 예상 가격
- 설정 가격 범위보다 너무 멀거나 가까우면 조정 필요
고급 설정 항목
고급 설정은 주로 위험관리나 섬세한 설정을 하기 위해 하지만 나는 따로 하지 않는다.1. 위험 관리 모드
- 스탑로스나 스탑익절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
- 자동 종료 조건을 미리 걸어두어 손실 최소화 가능
2. 활성화 가격
- 특정 가격에 도달했을 때만 봇을 실행하도록 지정
- 현재 시장가가 아닌, 조건 충족 시 작동
3. 상한 스탑 가격
- 시장 가격이 지정된 상한선을 넘으면 봇 자동 종료
- 급등 시 무분별한 매수 방지를 위한 제한선
4. 하한 스탑 가격
- 시장 가격이 지정된 하한선보다 낮아지면 봇 자동 종료
- 급락 상황에서의 손실 최소화를 위한 방어선
봇 실행
봇 생성하기 (롱)
설정을 모두 완료한 뒤 버튼을 누르면, 설정값을 기반으로 봇이 실행된다. 위 이미지의 설정으로는 진입 시점의 시장가를 기준으로 그리드 주문이 배치되며, 이후 가격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매매가 반복된다.수익 극대화 하기
그리드 봇은 상황에 따라 운용을 할 수 있다. 분할 매수처럼 투입자금을 조율할 수 있고, 그리드 간격이나 레버리지를 중간에 변경할 수 있다. 처음 접하게 되면 소액으로 운용해서 감을 잡는게 좋겠다.
거래소마다 그리드봇은 대부분 비슷하고, 짧게 작은 수익을 쌓아가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러면 수수료가 수익에 꽤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여러 거래소를 비교해 보고 가장 저렴한 수수료(셀퍼럴 돌려받기 포함)를 가진 거래소를 선택하는게 유리할 것이다.
나는 MEXC거래소에서 현재 메이커0%, 테이커0.02%로 업계 최저 수준으로 이용 중이다. 다른 거래소 셀퍼럴등 돌려받는걸 감안해도 최저수수료다. 또 달마다 이더나 솔라나등 메이저 알트들 수수료가 아예 0인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이용하고 있다.
0 댓글